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8)
챗GPT로 블로그 글쓰기 오늘은 챗GPT를 이용해서 블로그에 글쓰기라는 주제의 영상을 보았다. 처음 챗GPT가 나왔을 때부터 이제 블로거들은 다 망했다!! 라는 이야기가 많았는데 이제서야 도전해보는 블로그 글쓰기. 스타트!! 1단계. 쌩판 모르는 내용과 관련된 글 써달라고 하기 "왕나비의 비행 패턴에 관한 아티클을 써줘" 라고 질문했다. 나는 왕나비라는 종류가 있는지도 몰랐다. 나비니까 비행패턴이라는건 존재하겠지.. 라는 생각으로 질문을 했다. 결과는 와우.. 이게 할루시네이션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이주 비행, 글라이딩과 활공 비행, 비행 속도와 고도, 경로 인식과 내비게이션 등등의 다양한 소주제를 가지고 글을 써줬다. 소주제를 가지고 글을 작성하는 방식은 티스토리나 네이버나 블로그에서 모두 좋은 방식인데 이미 글이 하나 완성..
챗 GPT로 맞춤형 건강 계획 만들기 챗 GPT가 점점 더 진화해가고 있다. 이제는 챗 GPT를 넘어서서 클로드와 같은 여러 AI도 생겨나고 있다. 이 때 필요한건 역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 그래서 다시 듣기 시작한 유데미의 AI강의를 정리해본다. 이번 시간에는 챗 GPT를 사용해서 나에게 맞춘 건강 계획을 만들어보았다. 키 160cm, 몸무게 55kg의 30세 여성을 가상의 인물로 설정하고, 해당 인물에 대한 건강 계획을 만들어보았다.  1단계. 챗GPT 역할 설정 및 기본 정보 입력 GPT에게 "너는 지식이 풍부한 영양사야" 라는 역할을 부여해주었다. 이제 이 GPT는 자신이 영양사라는 쇠뇌를 당한 상태로 답변을 해주게 될 것이다.  거기에 "너는 지식이 풍부한 영양사야. 나는 30세 여성이야. 키는 160이야. 몸무게는 55kg이..
다양한 ChatGPT 프롬프트 기법 모음 지난 포스팅에서 기본적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기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하지만 좀 더 세부적이고 전문적인 데이터를 얻기에는 조금 부족했다. 이번 포스팅에선 더욱 전문적인 답변을 얻기에 도움이 될만한 프롬프트를 정리해 보았다. 응답 후 후속 프롬프트 활용 질문을 통해 받은 답변에서 좀 더 개선을 하는 방식으로 좀 더 자세한 답변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 방식은 기존에 받았던 답변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경우 계속해서 답변을 정제하는 과정을 통해 원하는 형태의 답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후속 프롬프트의 예시이다. 1. 가장 중요한 키워드를 굵은 글씨체로 표시해 줘 2. 날짜, 위치, 가격별로 정리해 줘 3. 글머리 기호마다 적절한 이모지를 추가해 줘 4. 결과물을 [나이 or 학력] 이해력 수준에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개념과 ChatGPT 예시 요즘 AI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이 나중에 살아남게 될 것이라는 말이 많다. 최근에 개발되어지고 있는 AI들은 대부분 프롬프트를 기반을으로 동작한다. 즉, 프롬프트를 잘 작성해서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는 사람이 AI를 잘 활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그래서 ChatGPT에게 질문을 하고 있다. 하지만 좋은 결과를 얻는 사람도 있는 반면 생각보다 좋지 않은 결과에 실망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 때 필요한 것이 제대로 질문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오늘 이 글에서는 ChatGPT에게 잘 질문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우선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무엇인지 알아봐야 한다. 이게 뭔지도 모르고 할 수는 없으니까.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ChatGPT과 ..
Vim editor의 스크롤을 조작하고 전체선택하는 방법 Vim editor를 사용하다보면 문서화면의 스크롤을 조작하거나 특정 위치로 이동할 경우가 있다. 또한 문서의 첫 부분, 마지막 부분으로 이동하기도 하고 문서 전체를 선택하기도 한다. 본 문서는 해당 내용을 살펴본다. 행을 한줄씩 움직이는 방법 문서를 보다보면 행을 한 줄씩만 위로, 아래로 움직여야 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 때 방향키나 j, k키를 사용하게 되면 위나 아래의 문장에 다다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이 아니라 행 자체를 위로 올리고 아래로 내리기 위해서는 다른 명령어가 필요하다. 이 때 사용하는 것이 ctrl + e 와 ctrl + y 이다. 첫 번째 줄에 커서가 있는 상황에서 ctrl + e를 누르게 되면 화면 자체가 위로 올라가면서 두 번째에 있던 행이 첫 번째로 대치된다. 위에서 보..
Vim editor에서 단어 검색하기 문서 내에서 특정 단어를 찾는 행위는 굉장히 많이 일어나는 행위 중 하나이다. Vim editor에서 역시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Vim editor에서 열린 문서에서 특정 단어를 검색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단어를 검색하는 방법 보통의 경우 특정 단어를 찾는 단축키는 'ctrl' + 'f' 또는 'command' + 'f' 이다. Vim editor의 경우에는 이와 다르다. /를 이용한다. 위의 이미지에서 'test'라는 단어를 찾는 상황을 가정해본다. 'test'는 해당 문서에 총 2개 존재한다. 이 때 /test를 입력한 후 엔터키를 눌러주면 첫 번째 'test'를 찾고 't'에 커서가 위치한다. 여기서 다시 엔터키를 눌러주면 다음의 test를 찾아 이동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Vim editor에서 커서 이동하는 여러 방법 Vim editor에서 커서를 이동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기본적으로는 방향키로도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방향키가 없던 시절 생겨난 Vim editor의 고유한 기능인 커서 이동 방법을 알아두는 것도 굉장히 매력적일 것이다. 아래의 본문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방식, 단어마다 이동하는 방식, 문장마다 이동하는 방식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방향으로 커서 이동하기 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으로 커서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다. 먼저 떠오를 방법은 방향키를 사용하는 것이다. Vim editor 에서도 방향키는 그대로 동작한다. 위, 아래, 오른쪽, 왼쪽 모두 이동 가능하다. 하지만 방향키 없이도 이동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h', 'j', 'k', 'l' 버튼을 사용하는 것이다. ..
Vim editor를 종료하는 다양한 방법 일반적인 종료 방법 Vim editor를 통해 파일을 열었다가 그냥 닫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아무런 수정 없이 그냥 에디터를 닫고 돌아가고 싶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q' 명령어를 사용한다. Vim editor 창에서 콜론 버튼을 누르고 q를 누른 후 엔터키를 누르면 해당 에디터 상태에서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작성한 내용 저장하기 Vim editor를 통해 파일의 내용을 수정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수정한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보통 저장을 할 때에는 'ctrl' + 's' 혹은 'command' + 's' 를 사용한다. Vim editor에서는 ':w' 라는 명령어로 파일을 저장한다. 이미지에서와 같이 ':w' 명령어를 사용하면 변경한 사항이 저장된다. 저장하고 종료하기 ..